관악산에서 식생에 따른 세포성 점균의 출현과 분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15 14:29
본문
Download : 관악산에서 식생에 따른 세포성 점균의 출현과 분포.hwp
분리된 종은 0.1% LP배지(Lactose-Peptone Agar Media)에 E. coli와 함께 접종한 후 20~22℃의 항온기에서 배양하였다.
침엽수림 군락은 소나무 군락, 리기다소나무 군락, 잣나무 군락, 잎갈나무 군락, 전나무 군락, 화백나무 군락으로 P. pallidum, D. giganteum, D. purpureum, P. violaceum, D. minutum이 출현하였다(Table 2). 각 지소당 출현 종수는 소나무 군락이 1, 화백나무 군락이 5로 가장 컸으며, 침엽수림 5개 지소의 조사지역당 종출현율은 약 2.3으로 선행연구에 따른 국내 조사지역당 mean(평균) 종출현율인 6.85에 비해 상당히 낮은 값을 보인다. 접종 후 2일째부터 점액아메바의 집합형태, 이동기의 유무 및 형태, 포자 및 자실체의 모양, 색깔, 크기, 정단 기부의 모양, 가지의 모양 등을 중점적으로 관찰하였다.3. 딕티오형 세포성 점균의 관찰 및 동정1) 세포성 점균의 관찰토양에서의 딕티오형 세포성 점균의 배양에는 건초배지(Hay Infus... , 관악산에서 식생에 따른 세포성 점균의 출현과 분포자연과학레포트 ,
관악산에서 식생에 따른 세포성 점균의 출현과 분포
,자연과학,레포트
3. 딕티오형 세포성 점균의 관찰 및 동정
1) 세포성 점균의 관찰
토양에서의 딕티오형 세포성 점균의 배양에는 건초배지(Hay Infusion agar)를 사용하였다(홍과 장 1992, 장 등 1996a, Shim 1994). 토양을 50:!로 희석하여 Escherichia coli 107~108 cell/ml를 세포성 점균의 먹이로 제공하고 20~22℃의 항온기에서 배양한 후 7일 후에 분리하였다. 종의 동정은 계대배양을 통해 그 특징이 명확히 드러날 때까지 수행하였다.
Ⅲ. 결과 및 논의
식생에 따른 세포성 점균류의 분포를 조사하기 위하여 서울의 남서쪽에 위치하고 있는 관악산에 분포하는 12개 식물군락에서 토양을 채집하여 分析하였다. 서울 지역 삼림에서의 세포성 점균의 분포에 대한 홍과 장(1996)의 연구결과에서도 관…(투비컨티뉴드 )
1) 세포성 점균의 observation
토양에서의 딕티오형 세포성 점균의 배양에는 건초배지(Hay Infus...
Download : 관악산에서 식생에 따른 세포성 점균의 출현과 분포.hwp( 66 )
순서
3. 딕티오형 세포성 점균의 observation 및 동정
레포트/자연과학
설명






다.
2) 세포성 점균의 동정
딕티오형 세포성 점균에 대한 관찰 사항을 토대로 Olive(1975), Raper(1984), Hagiwara(1989), 홍과 장(1990, 1991)의 분류 체계를 기초 자료(data)로 참조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