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개토왕 비문와 신화기사의 分析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05 01:44
본문
Download : 광개토왕 비문와 신화기사의 분석.hwp
ꡔ위서ꡕ 고구려전의 내용은 …(생략(省略))
레포트/기타
현재 고구려의 건국신화를 전하고 있는 사료로는 「광개토왕릉비문」, 「모두루묘지」, 위서, 주서...
순서
설명
현재 고구려의 건국신화를 전하고 있는 사료로는 「광개토왕릉비문」, 「모두루묘지」, 위서, 주서... , 광개토왕 비문와 신화기사의 분석기타레포트 ,
광개토왕 비문와 신화기사의 分析






,기타,레포트
다. 더욱이 고구려 건국신화를 전하고 있는 ꡔ삼국사기ꡕ나 ꡔ삼국유사ꡕ의 일부 내용들은 ꡔ위서ꡕ의 것을 거의 그대로 옮겨 쓴 것으로 보여지기도 한다. 따라서 고구려 건국과정에 있어서 ꡔ위서ꡕ가 차지하는 비중이 높은 것은 사실이다. 그리고 당대의 문헌사료 가운데에서는 中國측의 ꡔ위서ꡕ에 고구려의 건국신화가 처음으로 수록되어 있다 이 중에서도 사료적 가치가 높은 것은 역시 「능비문」이다. 이는 시기적으로 「묘지」가 대략 5세기 중엽경에 씌어진 것이라면 「능비」는 5세기 초인 414년에 세워진 것으로 그 연대가 확실하기 때문일것이다 그리고 「능비」가 보다 중요하게 인식되는 또 하나의 이유는, 현재 남아있는 내용이 「묘지」보다 「능비문」의 것이 보다 온전하다는 점에도 있다
그런데 「능비」의 건립연대와 거의 비슷한 시기에 이루어졌다고 보이는 ꡔ위서ꡕ 고구려전에는 고구려 건국신화의 내용이 아주 풍부하게 수록되어 있다 이러한 점에서 고구려 건국신화를 살피기 위해서는 ꡔ위서ꡕ의 내용도 중요한 reference(자료)로 평가되어야 한다.
그러나, 그렇다고 하더라도 고구려 연구에 있어서 ꡔ위서ꡕ의 가치가 절대적인 것만은 아니다.
Download : 광개토왕 비문와 신화기사의 분석.hwp( 36 )
현재 고구려의 건국신화를 전하고 있는 사료로는 「광개토왕릉비문」, 「모두루묘지」, 위서, 주서, 수서, 북사, 통전, 동명왕편, 삼국사기, 삼국유사 등이 있다 이들 가운데에서 현전하는 최초의 기록은 「광개토왕릉비문」과 「모두루묘지」로 모두 금석문이다.